본문 바로가기

글쓰기 writing/서평 review

타이포그래픽 디자인(Typographische Gestaltung)

 

얀 치홀트 지음 | 안진수 옮김 | 안그라픽스

2014년 출간 | 크라운판 변형(163X243) | 양장제본

2020년 7월 24일 작성


치홀트(Jan Tschihold) 《타이포그래픽 디자인(Typographische Gestaltung)》을 1935년에 썼다. 1935년이라는 시기가 새삼 중요하게 다가왔던 까닭은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치홀트의 입장 변화가 담긴 최초의 저서이기 때문이다그가 보다 젊었던 시절 내세웠던 것은 세리프가 중심이 되는 이른바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였다. 1920년대 독일의 진보적인 예술인들에게 바우하우스로 대표되는 현대성 내지 모더니티는 새로운 미감을 찾는 있어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한마디로 전례 없는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것이 일종의 시대정신이었다 치홀트 역시 영향의 한복판에 있던 사람이다. 획이 없는 활자체, 세리프가 지향점이 것은 모더니티에 대한 감각과 궤를 같이 한다.

이런 지향점이 바뀐 계기는 1933 나치당이 집권한 이래로, 다방면의 진보 인사들에게 가해진 폭력이었다. 치홀트와 그의 가족들도 시기에 부당하게 고초를 겪어야 했는데, 그가 대학 교직에서 압력에 의해 해임된 때도 때였다. 기존의 인간다움의 정의(definition)로부터 가장 급진적인 전환을 꾀하는 모더니티의 기치는 다분히 여러 갈래로 향할 있었다. 예술적으로는 소비에트 구성주의와 추상 회화가 가능한 방향이었지만, 그건 문명의 속도를 지나치게 찬양하는 미래주의로 가닿을 수도 있었다. 정치적으로는 사회주의, 나아가 공산주의로 향할 수도 있었지만, 파시즘으로 귀착될 수도 있었다. 치홀트는 모더니티의 양날의 위에서 급진성을 다시 생각했던 듯싶다. 책은 여전히 새로운 타이포그래피로서 세리프 활자체의 훌륭함을 잊지 않지만, 과거의 세리프 활자체의 가치를 인정하는 면모를 보인다. 중요한 것은 새로움에 갇히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것이든 새로운 것이든좋음 제대로 아는 것이다. 치홀트는 다른 좋음의 기준 없이 대충 만들어진 활자체가 우후죽순 등장하는 당시의 현실이 무척이나 싫었던 듯싶다.

좋음의 기준에 있어서 으뜸은 역시 적절히 아름답되 읽히는 것이다. ‘필요한 정보가 정확하고 분명하게 정리된 인쇄물’(34) 위해 복무하는 것이 타이포그래피의 목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활자부터 낱말, 글줄에 이르기까지 조판에 있어서 보편적인 규칙 내지/기술이 필요하다. 때는 기계 조판이 점차 확장되는 시대였기에, 치홀트가 그런 보편성을 중요하다고 봤던 듯싶다. 그런 보편적인 규칙은 이런 것들이다. 자간을 쓸데없이 넓혀서는 된다, 자간보다 어간, 어간보다 행간이 적어도 좁지 않거나 넓어야 한다, 들여짜기를 했다면 단락과 마지막 단락까지의 일관성이 중요하다, 섞어짜기를 때는 크기, 굵기, 활자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대비를 줘야 한다, 요소들의 레이아웃은 요소 위계와 모양 전체를 동시에 인상적인 결과를 얻을 있다, 적절히 쓰인 줄은 요소를 나누거나 묶을 효과적이다, 색은 제한적으로 사용될 가치가 높아진다 . 수많은 타이포그래피 교과서가 나온 지금의 시점에서는 다소간 새삼스러운 지적들일 있지만, 80년도 이전의 시점에 쓰였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가치가 크게 느껴진다. 

치홀트는 책의 말미에 어떤 개체의 가장 순수한 요소, 추상을 끄집어내는 구체예술과 타이포그래피에서 추구하는 요소 활용의 유사성을 지적한다. 굳이 이것을 덧붙인 것은 무슨 요소가 되었든, 요소들이 적재적소에 배치됨으로써 생기는 아름다움과 기능성이 타이포그래피의 목적임을 상기하고자 아니었을까.

당대 만들어진’ 라틴 타이포그래피의 사례들이 도판으로 수록되어서 읽는 내내 좋은 볼거리가 있었다. 정말 세련된 것은 시대를 초월하는구나, 새삼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한글은 알파벳과 형태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지만, 역시 라틴 타이포그래피 저서들은 틀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밖에 없다. 앞서 얘기한 보편적인 규칙들이 그런 것일 테고, 크게 생각하자면 끊임없이 대조하고 연구해보면서 나온논리가 있는작업 결과물이 생명력이 길다는 사실이다. 다소 여담이지만 여러 선생님들이 스케치를 강조했던 것처럼 치홀트도 단순한 작업을 하는 아닌 이상 스케치를 하는 것과 하는 것의 차이는 크다고 지적했다. 시간에 쫓긴다는 이유로 작업하기에 앞서 하는 스케치를 대충하거나 포기했던 자신의 행태를 반성하게 된다. 수명이 짧은 작업물을 눈앞에 두고 후회를 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대가들의 언명은 정말이지 허투루 들어서는 안 되는 것 같다.